종단별, 지역별,
주지스님별 등으로
검색이 가능합니다.
제주지역의 불교의식은 부처님께 드리는 음성공양과 재(齋)공양의 측면에서 육지부와는 다른 형태를 띠고 있다.
특히 음성공양인 범음(梵音), 범패(梵唄)는 불교의식 가운데 재를 하기 위해 부처님께 올리는 음악으로 인간의 염원을 부처님께 전달하는데 사용된 의식요(儀式謠)이다.
불교의례 중 범음과 재 공양의 측면은 제주지역 문화 중 불교문화의 근간을 이루는 것으로 많은 민중들의 호응을 얻고 대를 이어 구전돼 내려온 한 문화형태라고 할 수 있다.
제주불교의식은 불교가 유입, 전승되면서 제주의 전통문화와 연계돼 육지부와 차별되는 특징을 지니고 있다.
제주도의 불교의식은 육지부에 비해 죽은 자를 위한 천도의례가 중시돼 더욱 장엄하게 진행되고 있고, 천도재인 49재 때도 육지부에서 소멸된 시왕각배를 시왕각청으로 이어가고 있으며, 생전예수재의 경우에도 욕불의식이 전승되고 있다.
특히 제주 불교 세시의례 중 칠성재와 산신재의 의례가 육지부에 비해 성대히 치러지고 있다. 이는 무속의례가 성행되고 제주에서 가장 중시되면서 치러지던 산신과 칠성이 불사에서도 중요하게 여기게 됐기 때문이라 할 수 있다.
범패는 의식을 진행하면서 부르는 의식요라 할 수 있는데 의례를 통해 전승되기 때문에 전승 과정에서 크게 변이되는 부분은 없을 것이다. 그러나 제주 범패의 경우 이와는 차이를 보이고 있다.
또한 범패 안채비는 사찰 내에서 여러 불·보살을 청할 때 청하는 이유를 요령을 흔들며 염불을 한다. 제주에서는 염불할 때 태징·목탁·북 등을 치는데 속도도 육지부에 비해 느리고, 경서도 영남·호남지역과는 다른 음악적 특징을 가지고 부른다.
재의 끝과 중요 단락에서 부르는 화청 곡 가운데 회심곡은 평염불의 ‘부모은중경’을 떼어 민요화했다. 부모의 은공에 대한 내용과 아름다운 음악적 선율에 공감해 제주에서는 사람이 죽어서 행상 나갈 때 부르는 행상소리에 차용돼 민간에서 불려지곤 했다.
그런데 이 행상 소리가 기존에 불려지던 불교의 회심곡을 변이 시켜 육지부에서 불려지는 소리와 다른 음악적 특징을 생성하게 된 것이다.
제주불교의식은 지난 2002년 제주도 무형문화재 제15호로 지정됐는데 반야사 주지 성천스님이 예능보유자로 등록돼 있다.
제주 출신인 성천스님은 어려서부터 불가에 입문해 춘곡스님으로부터 자연스럽게 제주의 불교의식과 안채비를 습득, 제주불교의식과 안채비 소리의 특징을 그대로 전승하고 있다.
스님은 지난 1999년 중요무형문화재 제50호 범음범패대학을 졸업하면서 바깥채비도 일정 수준에 이르면서 각종 불교행사에 참여해 범패를 시연하고 있다.
또한 스님은 지난 2000년 ‘제주불교범음범패연구소’를 개설하는 등 제주불교의식의 원형보존과 전승을 위해 노력하고 있다.
제주불교의식은 단순히 불교의례에 머문 것이 아니라 오랜 세월 제주지역 민중과 함께 숨쉬며 제주 고유의 문화로 형성·발전돼 왔다고 할 수 있다.
따라서 제주불교의식을 전승·보존하는 것은 제주 문화의 정체성을 되찾는 일이며, 현시대에 맞는 전승 방안들도 다각적으로 모색돼야 할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