종단별, 지역별,
주지스님별 등으로
검색이 가능합니다.
한라산 650m 기슭에 자리한 대한불교 조계종 제23교구 본사 관음사는 제주의 사찰 30여 사찰을 관장하는 제주 불교의 중심이다.
관음사는 불교전래 초기에 창건되어 발전했을 것으로 추측하는 바, 제주의 여러 신화, 전설, 민담에 관음사를 괴남절(제주 방언으로 관음사), 개남절, 동괴남절, 은중절이라고 민간에 유포되어 전해온다.
구전에 따르면 고려 문종 임금(재위 1046~1083)때 창건되었다는 설이 있고, 조선시대에도 존재했던 사찰이라는 기록이 남아있다. 그러다 유교를 국가 통치 이념으로 삼았던 조선의 지배자들이 1702년 이형상 목사에 의해 제주 지역 사찰 전부 훼철되면서 관음사도 함께 사라지게 되었다.
200년의 명맥불교를 유지하다 지난 1908년 안봉려관 스님에 중창됐다. 스님은 지역민들의 반대에 부닥치는 어려움 속에서도 해월굴에서 3년간 관음기도를 드리며 법당과 요사를 완공하기에 이른다. 뒤이어 통영 용화사 등지에서 불상과 탱화를 모셔와 여법한 사찰의 모습을 갖추게 되었다.
절의 외형을 갖추는 불사가 일단락되자 제주 중심지인 중앙로에 시내 포교당인 대각사를 세워 제주 도민과 함께 호흡하는 적극적인 포교활동을 펼친다. 오랜 시간 맥이 끊겼던 제주의 불교가 관음사를 중심으로 살아가기 시작한 것이다.
그러나 1939년 불이 나 대웅전 등이 모두 불타 없어지면서 관음사도 질곡에 찬 역사의 소용돌이 속으로 빠져들고 만다. 1948년 제주 4·3 항쟁이 그것이었다. 당시 관음사의 위치가 전략적 요충지였기에 토벌대와 입산 무장대가 관음사 지역을 중심으로 상호간 첨예하게 대치하였고, 이러한 과정에서 관음사는 모든 전각이 전소되었다. 한라산이 입산금지가 풀리고 지난 1969년부터 대웅전을 시작으로 선방, 영산전, 해월각, 사천왕문, 일주문, 종각 등의 차근차근 불사가 이뤄지면서 지금의 모습을 되찾은 것이다.
지난해 역사를 밟아온 관음사, 그것은 비운의 섬 제주가 걸어온 슬픈 역사와 닮은 꼴이기도 하다.
?